> 거리 벡터 알고리즘
: 각 라우터가 인접해 있는 라우터와 경로설정 정보를 교환하여 네트워크의 구성이나 장치 배치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구조
- 라우팅 메트릭 값의 설정 : 네트워크 지연시간, 대역폭, 신뢰성, 부하율 등을 고려
- 네트워크 지연 : 하나의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측에서 목적지(수신측)까지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, 링크의 대역폭, 실제거리, 포트의 큐, 네트워크의 과부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
- 대역폭 : 연결된 네트워크 구간에서 사용 가능한 트래픽의 양
- 신뢰성 : 각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어서 얼마만큼의 신뢰(비트 에러율 등)를 유지하는가를 수치로 표현된 것.
- 부하 : 네트워크 traffic의 busy한 정도
- 새로운 정보를 받을 때마다 인접한 라우터에 그 정보를 알려주고, 이것을 반복하여 최종으로 모든 라우터가 네트워크 전체의 정보를 갖게 됨
- 교환되는 정보가 기본적으로 거리 정보뿐이기 때문에 단순하고 다루기 쉬운 반면, 장애 등의 원인을 알아내기에는 어려움이 있음
> 링크상태 알고리즘
- 목적: 링크상태 알고리즘은 거리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됨
- 구조: 라우터가 먼저 각각의 독립된 네트워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다른 모든 라우터에게 전달하는 구조
- 장점
. 라우팅 정보가 변경될 경우 바뀐 라우팅 정보만을 전파시키기 때문에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서, 규모가 큰 네트워크에서도 사용 가능.
. 해당 라우터에서 발생한 정보만을 다른 라우터들로 전파시키기 때문에 라우팅 루프(loop) 같은 라우팅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.
. 거리벡터에서와 같은 시간지연 문제 발생 감소
- 단점
. 복잡한 구조로 경로설정이 구현되므로 주소 배분이나 장치 설정의 어려움 발생
'통신_전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니캐스트/멀티캐스트 라우팅 (0) | 2022.01.14 |
---|---|
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(0) | 2022.01.11 |
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(0) | 2022.01.10 |
주소 매핑과 에러 보고 (0) | 2022.01.10 |
DHCP와 NAT의 이해 (0) | 2022.01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