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>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: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 - 전송 측에서 목적지까지 데이터 패킷이 거쳐가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배정하는 기능: '라우팅(routing)' 기능 - 종단간 패킷 전송을 취급한다는 점에서 데이터링크 계층과 구분, 정적,동적,디폴트 라우팅 기법이 있음 - 라우터 (router) .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라우팅 정보를 참조하여 경로를 설정하고, 데이터 패킷을 중계함으로써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연결한다. . 라우팅 테이블의 내용 -> 네트워크주소 (목적지 주소), 메트릭(목적지까지의 소요비용), 다음 라우터 혹은 다음 게이트웨이, 인터페이스 등 > 라우팅 알고리즘 설계 시 요구사항 - 최적성: 메트릭이 네트워크의 상태를 잘 나타낼 수 있도록 최적으로 계산되어야 한다. - .. 더보기 주소 매핑과 에러 보고 > 주소 매핑 - IP 주소는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한 주소(www와 같은 도메인 네임도 결국 IP주소로 바뀌어 IP패킷의 목적지 주소에 들어감) - Ethernet주소와 같은 물리적 주소는 해당 LAN에 접속된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한 주소 . MAC주소는 LAN에서만 유일하게 식별되며 인터넷 전체에서는 IP주소로 식별함 - 인터넷은 여러 네트워크들의 집합으로 되어 있어서 각 네트워크 내부의 장치들을 구분하기 위한 주소가 사용됨 . MAC주소는 LAN 내에서 각 장치 구분 - IP패킷이 해당 LAN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IP주소에 대응하는 이더넷 주소와의 관계가 설정되어야 함 - IP주소와 MAC주소를 연결짓는 것이 주소 매핑 - 매번 네트워크를 통과할 때마다 IP주소와 MAC주소의 매핑이 .. 더보기 DHCP와 NAT의 이해 > DHCP : 네트워크상에서 동적으로 IP 주소 및 기타 구성정보 등을 부여/관리하는 프로토콜 : DHCP 주요 구성정보(매개변수) 및 동적 할당 - 구성 정보 . 기본 정보 : IP주소, 서브넷 마스크, 디폴트 라우터 . 추가 정보 : 네임서버(DNS)의 IP주소 . 기타 정보 : 홈 에이전트 주소, 디폴트 도메인 네임 등 - 동적 할당 . 제한된 수량의 IP 주소를 `재사용`, `한시적 사용`, `자동 재활용` 등 가능 - 디스크 없는 컴퓨터에게, IP 주소 등 기타 구성정보를 제공 가능 (과거 BOOTP 주요 역할) . 지정된 서버로부터 IP 주소 및 부트스트랩 관련 구성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, . 응답메세지 내에 파일 경로를 송부하여, . 이를 이용하여 TFTP를 통해 나머지 구성정보 얻기가 가.. 더보기 IP 주소 자동 설정, 주소 자동 생성 > IP 주소 설정 (호스트에 IP 주소를 설정하는 것) : IP 주소의 수동 설정 - 운용자 수동 입력 : IP 주소의 자동 설정 - 어떤 망에 진입 또는 부팅하는 호스트로 하여금, - IP 주소를 동적/자동적으로 설정(생성)할 수 있게하는 것 : 호스트에 IP 주소 설정 작업시 필요한 요소들은? - IP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디폴트라우터 IP주소, 네임서버 IP주소 ☞ DHCP 참조 > IP 주소의 자동 설정시, 주체 결정 : 기존 IPv4 주소는, 지역 관리자(사람) 또는 DHCP 서버에 의해 유일하게 수동 또는 자동 설정됨 - 수동 주소 설정 (운용자에 의함) - 동적 주소 자동설정 (DHCPv4에 의함) : IPv4와 달리 IPv6에서는, Global Unicast Address의 자동 설정시.. 더보기 IP 주소의 이해 > TCP/IP 구성 정보 : TCP/IP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컴퓨터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필요 정보를 컴퓨터에 등록해야 된다. - IP주소 . TCP/IP를 사용하는 컴퓨터마다 하나씩 할당되는 32비트(4바이트) 주소이다. . 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컴퓨터는 이 IP주소를 반드시 하나 이상 가져야한다. - Subnet Mask . 목적지 IP주소가 Local Network에 있는지 Remote Network에 있는지를 찾아 주며 32비트(4바이트) 주소이다. - Default Gateway(Router 주소) . 목적지 IP주소가 Local Network이 아닌 remote network에 있을 때 remote network을 찾아 가는 출구 역할을 한다. 대개 라우터 주소가 게이트웨이 주소.. 더보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 > 네트워크 접속 장치 : 통신망(근거리 통신망, 광역 통신망) 구성에 가장 기본이 되는 하드웨어 -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다양한 형태의 근거리 통신망을 연결하면 좀 더 복잡하고 큰광역 통신망을 형성할 수 있으며, 근거리 통신망을 연결하는 데에는 다양한 접속 장치가 필요 -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치는 LAN 카드(NIC)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으며, 허브, 중계기, 스위치, 게이트웨이, 라우터 등을 사용한다. > LAN 카드 : LAN 카드(Network Interface Card, NIC)는 두 대의 이상의 컴퓨터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설치하는 확장 카드를 말한다.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물리적 장치에는 방드시 하나 이상의 .. 더보기 무선 LAN의 종류 > 무선 LAN의 종류 정리 : IEEE 802.11b - IEEE 802.11b는, 무선 LAN를 일반적으로 알게 한 선구라고도 할 수 있는 규격으로, 통신 속도의 이론치는 11Mbps입니다. 전자 렌지 등 2.4 GHz 주파수대와 겹치는 대역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와의 전파 간섭이 있기 때문에, 노이즈에 약하다는 결점도 있으나, 환경에 유의하고 사용하면, 데이터 송수신에 문제는 없기 때문에, 케이블 댓글이라는 사용의 편리성이 많은 유저에게 받아들여졌습니다. - Web 콘텐츠의 다양화와 함께 더 고속 전송 가능한 규격이 차례차례로 릴리스되었기 때문에, 현재는 이 규격만에 특화한 제품의 판매는 없습니다. 단, 같은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상위 규격의 IEEE 802.11g/n과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, 802.1.. 더보기 LAN 매체와 유선 LAN > 매체라는 것은 크게 유선 매체, 무선 매체로 나누며, 혹은 유도 매체, 비유도 매체라고 부르기도 함 > 전송매체의 종류 : 전송매체란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신호(에너지)를 전달하는 물질이다. 즉, 네트워크에서도 전송자와 수신자 사이에 매체가 존재하게 된다. 네트워크 계층에서 가장 하위계층인 물리계층과 연결되어 디지털,아날로그 신호를 매체에서 수용하여 전달하게 된다. - 유도체 (Guided Media) . 꼬임선 (TP, Twisted-pair cable), 동축 케이블 (Coaxial cable), 광섬유 케이블 (Fiber-optic cable) - 비유도체 (Unguided Media) . 자유공간 (공기) > 유도매체 (Guided Media) : 선이 있는 매체로 신호를 다른 장치로 유도..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