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5G 특화망 이해 > 5G 특화망 개요 (Private 5G) : 일반 5G 공중망과 달리 특정기업에 속한 사람 혹은 디바이스 접속과 연결을 허용하여 폐쇄된 연결성/보안, 이에 필요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망임. (5G 공중망을 이용하여 구축도 가능함) > 적용 사례 : 독일, 미국, 영국, 일본 등에서 출발 - Industrial 5G (독일), 5G NPN (Non-Public Network, 3GPP), 5G Private Wireless/5G Private Cellular/5G CBRS/Enterprise 5G(미국 업계) > 국내 현황 : `21. 1. 26 과학기술정통부에서 "5G 특화망" 이라고 정책 방안 수립 - 1. 26일 28GHz대의 600MHz를 Private 5G용으로 할당 - 6. 29일 4.. 더보기
보안장비 종류 및 솔루션 Anti-DDos, DLP, DRM, EDR, EPP, 기타 보안장비 & 솔루션 ​ ● ​Anti-DDos - DDoS(분산 서비스 거부)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전용 네트워크 보안 장비 - 보통 외부에사 내부로 들어오는 최상단에 위치하여 DDoS 공격 방어 수행 ​ * Anti-DDoS 분류 ①Transparent mode : 백본 네트워크 하단에 위치하여 악의적 공격 행위를 차단 ② Bypass mode : 백본(Router) 옆에 위치하여 비정상 트래픽 감지 시 자신에게 패킷을 이동시켜 정리후 정상 패킷은 내부로 보냄 ​ 정보유출방지솔루션(DLP/DRM) ​ ● DLP (Data Loss Prevention) - 사전 정보 유출 방지 *누출 사건 처리하는 '기술적 범주' - S.. 더보기
네트워크 장비의 적용 사례(1) > 고객사와 통신사의 프로토콜 적용 1) TCP/IP 계층별 구현되는 프로토콜 2) TCP/IP 계층별 구현되는 적용 장비 더보기
IDG 사이트 리뉴얼 IDG 사이트 리뉴얼 오픈 EVENT (itworld.co.kr) 테크놀로지 리더를 위한 글로벌 IT 뉴스 - ITWorld Korea PC World, Computer World 등 글로벌 미디어의 콘텐츠. 테크놀로지 리더들의 실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 제공. www.itworld.co.kr #IDG리뉴얼축하 #해피뉴IDG 더보기
UDP와 TCP > UDP(User Datagram Packet) - 프로세스 대 프로세스 통신을 생성하기 위해서 포트번호를 사용함 - 전송계층에서 제어 메커니즘을 제공 - 흐름제어는 없고 수신된 패킷에 대한 확인응답도 없음 - 초보적인 오류제어 가능은 제공(오류 발견시 폐기) - UDP 헤더의 Checksum을 통해서(옵션) 헤더와 데이터 모두 포함한 사용자 데이터그램 전체에 대한 오류 탐지 . 송신지에서 계산되고 목적지에서 검사됨 . 목적지에서 체크섬 에러 발견 시, 즉시 폐기 . UDP에서 Checksum은 옵션으로 사용됨. - 비연결형, 신뢰성 없는 전송 프로토콜 - 최소한의 오버헤드만 사용하는 매우 간단한 프로토콜 - 작은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고 또한 신뢰성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는 프로세스는 UDP를 사용 - .. 더보기
유니캐스트/멀티캐스트 라우팅 > 유니캐스트(Unicast) : 유니캐스트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에 자신의 MAC 주소와 목적지의 MAC 주소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. 어떤 시스템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시스템들은 그 MAC 주소를 받아서 자신의 MAC 주소와 비교 후에 자신의 MAC 주소와 같지 않다면 프레임을 버리고 같다면 프레임을 받아서 처리하게 된다. 유니캐스트 방식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한 개의 목적지 MAC 주소를 사용하고 CPU 성능에 문제를 주지 않는 방식이다. > 브로드캐스트(Broadcast) : 브로드캐스트 방식은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시스템에게 프레임을 보내는 방식을 말한다. 브로드캐스트 방식의 경우 브로드캐스트용 주소가 미.. 더보기
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> 역내 라우팅 프로토콜 : OSPF (Open Shortest Path First) 라우팅 프로토콜 - OSPF는 동일한 AS(도메인) 내에서 사용되는 IGP이며, RIP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링크상태 프로토콜 - 모든 라우터가 토폴로지(네트워크의 링크,노드와 같은 요소 들)에 관한 모든 정보를 갖고 있음 : RIP 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 - 거리벡터 라우팅 기법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프로토콜 - 하나의 라우터에 있는 모든 라우팅 정보를 다른 라우터에 주기적으로(30초) 전송 - 홉(hop)의 제한으로 인해 소규모나 중간규모의 네트워크에 적합한 기법 : RIPv2 - RIPv2는 RIP와 동일한 기본 알고리즘을 사용하면서 단점을 보완한 프로토콜로서 - 인증 메커.. 더보기
거리 벡터와 링크 상태 알고리즘 > 거리 벡터 알고리즘 : 각 라우터가 인접해 있는 라우터와 경로설정 정보를 교환하여 네트워크의 구성이나 장치 배치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구조 - 라우팅 메트릭 값의 설정 : 네트워크 지연시간, 대역폭, 신뢰성, 부하율 등을 고려 - 네트워크 지연 : 하나의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측에서 목적지(수신측)까지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, 링크의 대역폭, 실제거리, 포트의 큐, 네트워크의 과부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 - 대역폭 : 연결된 네트워크 구간에서 사용 가능한 트래픽의 양 - 신뢰성 : 각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있어서 얼마만큼의 신뢰(비트 에러율 등)를 유지하는가를 수치로 표현된 것. - 부하 : 네트워크 traffic의 busy한 정도 - 새로운 정보를 받을 때마다 인접한 라우터에 .. 더보기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