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통신_전자

선형 변조 기법

> 선형 변조 (Linear Modulaton)
: 전송되는 신호(반송파)가 정보 신호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되는 변조방식
- 일반적으로 주파수 효율성이 좋아서, 대역제한된 채널에서도 사용이 용이

> 선형변조의 특징
: 주파수 형태
- 정보신호 및 반송파신호 주파수 이외에 새로운 주파수 발생이 없음
- 주파수 스펙트럼의 모양 형태가 바뀌지 않음
- 원 정보신호 대역폭의 2배를 넘지 않음
- 중첩의 원리를 따름
: SNR(신호대잡음비)
- SNR(신호대잡음비)는 전송 신호 전력을 늘리지 않는한 개선하지 못함
: 포락선 형태
- 일반적으로 선형 변조 방식은 진폭 변조 방식을 주로 의미
- 기저대역 신호(포락선)가 반송파 신호의 포락선 형태로 그대로 전달이 됨

> 선형변조의 예시
- 아날로그 변조 : AM
- 디지털 변조 : ASK, PSK(QPSK, OQPSK, π/4 QPSK 등), QAM 등

> 수신기(복조) 관점에서,
: 진폭변조(AM)가 반송파와 양 측파대 모두 전송하는 Conventional AM(DSB-TC)이면,
- 수신기는 포락선 검파기로 쉽게 복조 가능한 비선형 수신기 임
: 진폭변조(AM)가 반송파 억압 (DSB-SC) 이면,
- 수신기는 동기검파가 요구되는 선형 수신기 임
- 동기검파 : 수신 신호와 똑같은 주파수,위상을 갖는 신호를 곱하고,
이를 저역통과필터에 통과하면 원 신호와 비례적(선형적)이게 됨

> 선형변조에 의한 주파수 스펙트럼 형태
: 새로운 주파수 발생이 없음
- 정보 신호의 스펙트럼을 반송파 주파수대 부근으로 옮기는 것 외에 새로운 주파수
를 발생시키지 않음.
- 즉, 원신호 및 반송파신호 외에 새로운 주파수가 나타나지 않음.
: 주파수 스펙트럼의 형태가 바뀌지 않음

> 선형변조에서 대역폭 관점 고려사항
: 선형 변조가 비록 우수한 대역폭 효율성 있음
: 전력 효율성이 나쁜 선형 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부가적 sidelobe 특성때문에
오히려 인접 신호 간섭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음

반응형

'통신_전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다중화  (0) 2021.12.24
각 변조  (0) 2021.12.24
신호 및 시스템  (0) 2021.12.24
통신에 대한 종류와 설명  (0) 2021.12.23
통신이론  (0) 2021.12.23